협력종합예술활동을 경험한 서울 중학생에게 나타난 정의적 특성의 변화 민경석 (세종대학교, 교수) 이 원고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연구 보고서(서울교육 2023-33)의 요약본임을 밝힌다. 1. 서 론 국가수준 혹은 교육청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
지난 10년, 서울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어떻게 달라졌나? 안영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본 고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기(2010년 조사)와 2기(2021년 조사)의 학교생활 영역 공통문항 전체를 활용하여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
코로나19 시기 신규교사의교직적응 유형과 경험에 대한 분석 정 송(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발간“『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2차년도 시행 및 결과 분석(서교연 2022-71)” 중 일부를 수정하였다.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3월 1일 정책연구
[2022 서울교육정책포럼]다양성이 꽃피는공존 사회를 위한 교육의 길 정수진, 이연주 명예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는 2022 서울교육정책포럼이 9월 27일에 교육연구정보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올해는 ‘다양성이 꽃피는 공존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11월 27일 정책연구
[2022 서울국제교육포럼]권리로서의 배움: 기초학력과 학습부진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예진 명예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과 한국교원대학교가 공동주최하고,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하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는 2022 서울국제교육포럼이 ‘권리로서의 배움: 기초학력과 학습부진에 대한 새로운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11월 27일 정책연구
수업 내 지원을 통한 기초학력 보장 방안으로서 협력수업 이해하기 오택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들어가며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적 역량을 발현하고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함께 출발하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8월 28일 정책연구
함께 만들어가는 서울미래교육 윤상혁(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안전기획관, 장학사) Ⅰ. 학생들의 삶과 미래교육의 방향 아이들이 행복하지 않은 사회, 대한민국 교육은 과거의 역사를 오늘로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8월 28일 정책연구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확장된 학습 공간으로서의가능성과 한계 계보경(한국교육학술정보원, 글로벌정책연구부장) 본고는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발간한 계보경, 서정희, 박연정, 이동국, 신윤미, 한나라, 김은지의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6월 5일 정책연구
관계를 통한 돌봄과 학교교육의 실천: 코로나19 이후 중학교에서의 돌봄 논의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발간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학교교육과 돌봄에 대한 연구: 중학교를 중심으로(서교연2021-77)” 중 일부를 수정하였음. 권순정(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2년 3월 4일 정책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