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수업 도구로 활용하다, ‘음성 기록 AI 활용’ 수업 윤애경 (창덕여자중학교, 교사) 수업 설계 배경 우리는 토론을 통하여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효과적으로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4일 교과교육
디벗으로 완성한 한문 수업 김태연 (성남중학교, 교사) 1. 한문과 디벗? 한문과 디벗,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두 단어이다. 처음에는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4일 교과교육
바야흐로 ‘취향 존중’의 시대선택을 통해 학생이 주체가 되는 ‘설명문 읽기’ 수업 이범희 (진명여자고등학교, 교사) 설명문 읽기 수업의 어려움 고등학교 국어 교사로서 읽기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텍스트 읽기에 어려움을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4일 교과교육
Hello! 우리는 꿈자람이 AI 탐험대 정문화 (서울중현초등학교, 수석교사) 챗GPT의 등장이 던진 질문 요즘 만나는 사람들이 챗!챗! 하며 챗GPT 이야기를 꺼내곤 한다. “정말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교육현장
느슨하게 이어지는 곳,카페 더 休 최지윤 (서울전농초등학교, 교사) 교사에게 카페 타임이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어릴 적, 직장인이 된 내 모습을 상상하면 늘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교육현장
차이를 인정하고 한 걸음 더 성장하는 퍼실리테이션 김영은 (금호고등학교, 교사) 여러 개의 우주가 공존하는 교실 “선생님 자리 제비뽑기해요.”, “자리 마음대로 앉고 싶어요!” 학교에서 하루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교육현장
위클래스의 봄, 여름, 가을, 겨울 이야기 양안나 (금옥여자고등학교, 전문상담사) 시인인 대학 선배는 봄, 여름, 가을, 겨우내 하루 중 일정 시간 동안 산을 바라보고,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교육현장
협력종합예술활동을 경험한 서울 중학생에게 나타난 정의적 특성의 변화 민경석 (세종대학교, 교수) 이 원고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연구 보고서(서울교육 2023-33)의 요약본임을 밝힌다. 1. 서 론 국가수준 혹은 교육청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
지난 10년, 서울 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어떻게 달라졌나? 안영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본 고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기(2010년 조사)와 2기(2021년 조사)의 학교생활 영역 공통문항 전체를 활용하여 ... By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2023년 6월 3일 정책연구